1. OSPF
장점: area 단위로 구성 ( eigrp와 다르게 재분배 하지 않아도 연결이 됨) 축약기능제공 (Stub) 표준 routing protocol VLSM 및 CIDR 지원 빠른 Convergence time = 문제발생시 바로 업데이트 |
단점: 복잡한 설정 자원소모가 많다 (계산하는 내용이많고 전달하는 내용이많음) |
OSPF패킷
Hello Packet |
인접한 router간 neighbor 관계 형성 |
DBD Packet |
OSPF의 네트워크 정보인 LSA 들의 요약된 정보를 알려줄때 사용 (정보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, 본인이 가지고 있는 테이블 정보를 다 전달하려면 데이터를 많이 써야 되기때문에 자신이 가지고있는 데이터를 헤더정보만 뽑아서 보여줌) |
LSR Packet |
DBD를 받아서 확인해 봤는데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데이터가 있을 경우 LSR packet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요청함 |
LSU Packet |
LSR로 요청을 받았을 경우 요청데이터 전달 자신이 알고있는 네트워크 상태 변경시 해당 네트워크 정보 전송 |
LS Ack Packet |
전달받은 내용에 대해 확인을 해주는 패킷. 따로 데이터를 요청할 필요가없을때 잘 받앗다 라고 전달만해줌. |
동작방식
hello packet교환 - 이웃맺기 |
adjancent neighbor - 실질적으로 LSA(라우팅테이블의 정보)를 교환을 하는 이웃을 지칭 |
↓
라우팅 테이블 등록 |
주기적 hello 교환
네트워크 상태 변화시 위 과정 반복
※ Adjancent Neighbor
: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adjancent neighbor라고 한다.
- LSA교환
- DR과 다른 router
- BDR 과 다른 router
- point - to - point로 연결된 두 router
- point - to - Multipoint로 연결된 두 router
- Virtual-link로 연결된 두 router
OSPF Neighbor 상태
Ⅰ. Down 상태
- 현재 연결이 안되있는 상태, hello패킷을 전달했지만 받지않은 상태.
Ⅱ. Init 상태
- 서로 교환을 해야되는데, 상대방이 보낸 hello packet에 내 정보를 가지고 있지않음
Ⅲ. Two-way 상태
- 쌍방향 통신이 됬다. (Multi Access네트워크일 경우
Ⅳ. Exstart 상태
- Adjancent Neighbor 가 되는 첫번째 단계, Master와 slave-router 선출
Ⅴ. Exchange 상태
- 실제로 이부분에서부터 hello패킷이 아닌 실질적인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교환함.
Ⅵ. Loading 상태
- 없는데이터가 있으면 LSR요청, 요청을 받았으면 LSU로 제공
Ⅶ. Full 상태
- Adjancent Neighbor간 교환 끝
OSPF 테이블
Neighbor Table |
특성 |
- 모든 인접 router들의 리스트 관리 - 주기적 hello packet 교환 - neighbor 관계 유지 및 확인 |
확인 |
Router# show ip ospf neighbor |
|
Database Table |
특성 |
- Routing 업데이트 정보 관리 등 갱신되는 데이터들을 모두 관리 |
확인 |
Router# show ip ospf database |
|
routing Table |
특성 |
- LDSB를 이용해 최적의 리스트 관리 |
확인 |
Router# show ip ospf route |
※ LSA Type
네트워크 종류
Broadcast Multi Access |
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라우터에 연결되 있는 모양 동일 네트워크의 모든장비에 전달 (Broadcast) |
Non Broadcast Multi Access |
Boradcast packet지원 X 대부분 내부에 Virtual Circuit 방식 사용 가상회로 하나당 하나의 packet 사용
|
Point to Point |
1:1 연결 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을 쓰든 상관없음 네트워크의 말단 부분에서 주로 사용 |
DR, BDR
여러 라우터가 연결되 잇을 때 서로 교환시 중복되는 데이터가 많다. 이부분을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전송하여 부하를 줄임
이를 방지하기위해 하나의 라우터에 LSA 를 집중 시키고 이 라우터가 모든 라우터에게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 방식이 DR/BDR 방식 이다. DR은 앞서말한 기능을 수행하는 라우터 이고 BDR은 DR이 고장났을 경우 DR의 역활을 이어받는다.
DR/BDR 선출과정
-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
- 우선순위가 같을경우 Router-ID가 높은것
- 네트워크아이디가 높은것. (위 1,2 번안했을 경우)
- 한번 선출되면 변경 X (재부팅시 재 선출)
DR이 문제가 발생하면 BDR이 DR의 역활을 이어받고 BDR을 새로 선출 한다.
boradcast 형식으로 연결되 있을때 성립하는 개념이다 실습때는 1:1 방식의 라우터배치를 사용했기 때문에 서로간의 주소값의 상하에 따라서 DR이 다수로 보이거나 (사실 1:1 연결상 DR판정이 여러개가 된것) BDR이 상대적인등의 모습을 볼 수있었다.
AREA
안정성이 있도록 , 대역폭을 사용하기 좋게 나누어줌. 나눴을 대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통신을 안하지만 연결을 할때 중간 역할을 해줄 area 를 0 번으로 설정 ( backbone area) 해주면 서로다른 area는 0번area를 통해서 연결이 된다.
stub area : area의 정보를 축약해서 전달 및 저장 가능
2. ACL
전달하는 내용을 판단(나가는)
정책설정 -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설정하면된다.
'Kitri_NCS3기 보안과정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70414 VLAN (0) | 2017.04.14 |
---|---|
170413 NAT & SWITCH (0) | 2017.04.13 |
170411 라우터 동적경로설정 RIP (ver1 ,ver2) & EIGRP (0) | 2017.04.11 |
170410 라우터 와 정적경로설정(Static) (0) | 2017.04.10 |
170406 네트워크 기초(IP 프로토콜) (0) | 2017.04.06 |